신장암
신장암은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서 조기 진단이 매우 어려운 암인데요.
그래서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고, 이는 생존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신장암의 증상과 생존율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
오늘은 신장암이란 무엇이며, 신장암 원인과 증상, 치료법, 생존율, 예방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신장암이란?
신장암이란 콩팥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국내 암 발병률에 있어 10번째를 차지하는 악성 질환인데요.
발생 위치에 따라 '신우암'과 '신세포암'으로 구분됩니다.
1. 신세포암
신장암의 약 85-90%는 악성 종양인 신세포암이므로 우리가 흔히 신장암이라고 말하는 것은 신실질에서 발생하는 신세포암을 의미합니다.
2. 신우암
신우암은 신장에서 발생하는 암의 약 5-10%를 차지하며, 신세포암의 치료방법에 차이가 있습니다.
◎ 신장암 증상
신장암은 고유 증상이 없고 특별한 자각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서 조기 진단하기가 매우 어려운데요.
그래서 다른 장기로 전이된 이후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장암의 대표적인 증상 3가지는 혈뇨, 옆구리 통증, 복부의 혹입니다.
신세포암 환자의 약 60%는 혈뇨가 나타나며, 옆구리 통증은 40%, 복부의 혹은 45%입니다.
하지만 위 세 가지 증상이 모두 나타날 가능성은 약 10-15%밖에 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신장암은 건강 검진을 하거나 다른 증상에 대한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신장암 원인
아직까지 신장암의 원인에 대해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는데요.
신장암은 주로 60-70대의 남성에게 발생하며, 여성보다 남성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2배 더 높습니다.
1. 흡연
현재까지 신장암 환자의 약 30%가 흡연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보고 되고 있는데요.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신장암의 위험이 2배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특히 흡연량과 흡연기간에 비례해서 위험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2. 고혈압
고혈압은 여러 연구를 통해 신세포암을 발생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인정되었습니다.
3. 식습관
육류 위주의 식사나 낙농제품, 마가린, 동물성 지방을 많이 섭취했을 경우에 신장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몇몇 연구에서는 과일 및 채소류 섭취가 신세포암 발생률을 낮춰준다고 밝혔습니다.
4. 직업
가죽제품, 카드뮴, 석면, 유기화학약품, 유리 등을 취급하는 사람들에게 발생률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다만 그 관련성이 약해서 장기간 노출 시에만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5. 기존 신질환
장기간 혈액투석을 받은 경우에 신장암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 유전적 요인
신세포암의 가족력이 있다면 그 위험도가 4-5배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하지만 가족력이 있다고 해서 모두가 암에 걸리는 것은 아니며, 가족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모두 유전성을 갖진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성 신세포암은 비유전성 신세포암에 비해 좀 더 일찍 발병하며,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신장암 치료
신세포암 치료는 암의 진행 정도, 환자 연령, 환자 상태, 다른 질환의 유무에 따라 결정되는데요.
신세포암은 일반적으로 방사선 치료나 항암 화학요법에 잘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암 제거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다른 장기로 전이가 없는 신세포암의 경우에는 근치적 신적출술이나 부분 신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이미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에는 표적치료, 면역치료, 전이병소 절제술, 종양감축 신절제술, 임상시험적 치료 등을 시행합니다.
1. 수술적 치료
근치적 신적출술, 부분 신절제술, 전이 신세포암의 수술적 치료 등이 있습니다.
2. 비수술적 치료
항암화학요법, 면역치료, 표적치료, 대증적 치료, 임상 시험 등이 있습니다.
◎ 신장암 생존율
신장암 1기인 경우에는 5년 생존율 80-100%으로 매우 높은 생존율을 보여주는데요.
하지만 임파선에 전이된 경우에는 5년 생존율이 3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폐나 뼈 등에 전이된 경우에는 1년 생존율이 50% 미만으로 매우 낮은 생존율을 보여줍니다.
◎ 신장암 재발률
신세포암의 재발은 수술 이후 1-2년 사이에 주로 발생하는데요.
수술 후 10-15년이 지나서도 재발했다는 보고도 있으므로 추적검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특히 수술 후 림프절 전이, 신정맥 침범이 있는 경우에 재발 위험이 높고, 근치적 신적출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5-40%의 재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추적검사는 보통 수술 후 2년까지는 3-4개월마다 하는 것이 좋고, 그 이후에는 6개월-1년 간격으로, 5년 이후에는 1-2년마다 추적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신장암 예방 방법
1. 식습관
신장암 위험을 낮춰줄 수 있는 연어나 청어, 정어리, 고등어 등을 자주 섭취하고, 심하게 튀기거나 구운 육류는 가급적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2. 금연
흡연은 신장암을 일으키는 대표 요인 중 하나이므로 금연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고혈압
고혈압은 신세포암을 발생시키는 위험인자이므로 적절한 혈압조절이 필요합니다.
4. 정기검진
신세포암은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으므로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발병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 추천글
대장암 증상 원인 치료 생존율 총정리
대장암 영화 블랙팬서에서 주인공 역을 맡은 채드윅 보스만(Chadwick Boseman)이 대장암 투병 끝에 향년 43세로 사망했다는 기사를 접했는데요. 공식 SNS에 따르면 그는 2016년 대장암 진단을 받은 후, �
robotblog.co.kr
비인두암 증상 원인 치료 총정리
비인두암 비인두암은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암에 속하는데요. 배우 김우빈 씨가 비인두암에 투병 중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비인두암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robotblog.co.kr
당뇨병 원인 증상 치료 총정리
당뇨병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젊은 나이에도 당뇨병에 걸린 분들이 많은데요. 가족 중에 당뇨병을 앓고 분이 있다면 당뇨병 위험이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당뇨병 정��
robotblog.co.kr